고(故) 이건희 삼성그룹 선대회장의 배우자인 홍라희 전 리움미술관장이 명예관장으로 복귀했다. 2017년 국정농단 여파로 미술관장직에서 물러난 지 약 8년 만이다.
2일 업계에 따르면 삼성문화재단은 3월31일 창립 60주년을 기념해 기획한 호암미술관 특별전 '겸재 정선' 개막에 맞춰 홍 전 관장을 명예관장으로 추대했다. 홍 명예관장은 이날 개막식과 만찬에도 참석한 것으로 알려졌다.
홍 명예관장은 겸재 정선전의 도록에서 '호암미술관과 대구 간송미술관에서 열리는 겸재 정선전은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양대 사립미술관이 협력해 이뤄졌다는 점에서 더욱 뜻깊다'며 '문화유산을 지키는 문화보국을 실천한 호암 이병철 선생과 간송 전형필 선생은 평생 수집한 문화유산을 대중과 향유하고자 했던 선각자들'이라고 전했다.
이번 복귀와 관련해 홍 명예관장은 전시 개막식 만찬에서 "성원에 감사드리고 더욱 열심히 하겠다"고 포부를 밝혔다.
홍 명예관장은 1967년 서울대 응용미술학과를 졸업한 후 호암미술관장(1993년), 현대미술관회장(2005년), 예술의전당 비상임이사(2013년) 등으로 일했다. 2011년 리움미술관장을 맡았지만 2017년 국정농단 사퇴 이후 물러났다.
리움미술관은 홍 명예관장이 사퇴한 뒤 8년째 관장직이 비어 있었다. 대신 차녀인 이서현 삼성물산 전략기획 담당 사장이 2018년 리움 운영위원장을 맡아 미술관을 운영해왔다.
업계에서는 홍 명예관장의 복귀로 삼성의 미술사업이 다시 활발해질 것이라는 기대가 나온다.
홍 명예관장은 2010년을 제외하고 2005년부터 2014년까지 미술 월간지 '아트프라이스'와 한국미술시가감정협회가 선정한 '한국 미술계를 움직이는 인물' 1위에 올라 있었다.
특히 미국 미술잡지 '아트뉴스'는 2015년 홍 명예관장에 대해 "한국의 국내외 현대미술에 가장 인상적인 컬렉션을 소장하고 있다"며 "리움으로 서울을 국제적 문화도시로 발전시키고 있다"고 평가했다. 그는 세계적인 미술 매체 '아트넷'이 선정한 세계 200대 수집가에도 등재됐다.
한편 삼성오너 일가는 대(代)를 이어 국내 문화예술의 가치를 높이는 데 힘쓰고 있다. 이병철 창업회장은 1982년 30여년에 걸쳐 수집한 미술품을 기반으로 호암미술관을 개관했고 이건희 선대회장은 2004년 리움미술관 개관식에서 "문화유산을 모으고 보존하는 일에 막대한 비용과 시간이 들어갈지라도 이는 인류문화의 미래를 위한 것으로 우리 모두의 시대적 의무"라고 강조하기도 했다.
또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은 이 선대회장이 문화유산 보존을 위해 평생 모은 개인소장품 중 2만3000여점을 국립현대미술관과 국립중앙박물관 등에 기증하기도 했다. 당시 유족들은 '국립박물관의 위상을 높이려는 노력이 필요하다'는 이 선대회장의 말씀을 이행하는 것이 고인의 뜻을 기리는 진정한 의미의 상속이라는 데 뜻을 함께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