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 서울모빌리티쇼] '인증 문제' 고전 BYD, 씰 가격 4750만원 책정

입력
수정2025.04.03. 오후 5:49
기사원문
조재환 기자
TALK
본문 요약봇
성별
말하기 속도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2025 서울모빌리티쇼' 현장에 전시된 BYD의 '씰' /사진=조재환 기자
 

아토3 인증과 출고지연 문제 등으로 국내에서 어려움을 겪었던 BYD코리아가 '2025 서울모빌리티쇼' 프레스데이를 하루 앞두고 한시름을 놓게 됐다. 아토3가 2일자로 환경부 무공해차통합누리집에 보조금 지급 가능한 차량으로 등록되면서 씰 등 나머지 차량 판매에 활력을 띠게 됐기 때문이다.

BYD코리아는 3일 경기 고양시 킨텍스에서 열린 서울모빌리티쇼 프레스데이 현장에서 씰의 사전예약 사실을 알리고 판매가격 등도 공개했다. BYD코리아에 따르면 씰은 국내에서 후륜구동(RWD)과 사륜구동(AWD) 등 두 가지 트림으로 구성되며 판매가격은 4750만~5250만원으로 책정된다. 아직 씰의 보조금은 공개되지 않았다.

 
'2025 서울모빌리티쇼'에 전시된 BYD의 씰 /사진=조재환 기자
12.8인치의 BYD 씰 디스플레이에는 플로(FLO) 등 커넥티비티 서비스가 제공된다. /사진=조재환 기자
 

씰은 82.56㎾h의 BYD 리튬인산철(LFP) 기반 블레이드배터리를 사용해 1회 충전에 최대 520㎞(WLTP 기준)까지 주행 가능하며, 배터리는 20~80%까지 최대 150㎾의 속도로 약 30분 만에 충전할 수 있다.

듀얼모터가 장착된 BYD 씰 AWD에는 지능형토크적응제어( iTAC) 시스템도 적용됐다. iTAC은 토크 전환과 역방향 토크 출력 등 다양한 제어방식으로 휠슬립과 언더스티어 같은 현상을 최소화하고, 구동모터의 토크 출력을 즉각 조정할 수 있는 기능이다.

씰 파워트레인은 전면부 160㎾, 후면부 230㎾ 등 각각 다른 성능의 모터 2개가 탑재돼 최대 390㎾(530PS)의 출력을 내며 AWD 기준 정지상태에서 시속 100㎞까지 단 3.8초 만에 도달할 수 있다.

 
조인철 BYD코리아 승용 부문 대표가 씰의 국내판매 전략을 3일 '2025 서울모빌리티쇼' 프레스데이 현장에서 밝히고 있다. /사진 제공=BYD코리아
 

이날 BYD코리아 부스에는 류쉐량 BYD 아시아태평양영업사업부 총경리와 조인철 BYD코리아 승용 부문 대표 등이 참석해 씰뿐 아니라 양왕 U8·U9, 덴자 D9·Z9GT 등을 소개했다.

조 대표는 이날 "씰은 BYD 브랜드의 기술혁신과 미래를 향한 방향성이 있는 차"라며 "브랜드 강화를 위한 이미지메이커 역할을 할 것"이라고 자신했다.

기자 프로필

TALK

응원의 한마디! 힘이 됩니다!

응원
구독자 0
응원수 0

블로터 모빌리티 담당 조재환 기자입니다. 심층성 있는 기사로 여러분에게 다가가겠습니다. 제보는 cho@bloter.net

{{/list}} 닫기
이 기사는 언론사에서 경제 섹션으로 분류했습니다.
기사 섹션 분류 안내

기사의 섹션 정보는 해당 언론사의 분류를 따르고 있습니다. 언론사는 개별 기사를 2개 이상 섹션으로 중복 분류할 수 있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