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인 메뉴로 바로가기 주제분류 메뉴로 바로가기 본문으로 바로가기

한글은 배우기 쉽다. 《훈민정음 해례본》 서문을 쓴 조선시대 학자 정인지는 “지혜로운 사람이면 훈민정음을 아침나절이 되기 전에 이해하고 어리석은 사람도 열흘 만에 배울 수 있다”고 했다. 그만큼 한글은 쉽고, 과학적이며 독창적이다. 한글은 무려 1만 1000여 개의 발음을 적을 수 있다. 일본 300여 개, 중국 400여 개에 비교해보면 얼마나 뛰어난 글자인지 짐작할 수 있다. 가히 세계 최고의 문자라고 자랑할 만하다.

위키백과에 따르면 전 세계에서 한국어를 사용하는 사람은 약 7800만 명으로 추산된다. 모국어 사용자 기준으로 세상에 존재하는 약 6900여 개 언어 중 세계 13위다. 언어별 인터넷 사용자 수 순위에서는 세계 10위에 올라 있다. 영어, 중국어, 프랑스어처럼 유엔 공용어가 아닌 점을 감안하면 매우 높은 순위다. ‘표준국어대사전’에 올라 있는 단어 수는 51만 개. 1920년부터 2010년까지 90년 동안 발간된 국어사전은 12종이나 된다.

한글은 15세기에 만들어졌지만 과학적 표기체계를 갖춘 21세기형 문자다. 세계지식재산권기구(WIPO)가 2007년 아홉 번째 국제특허 공개어로 채택한 것은 너무나 당연하다. 그 우수성에 비해 너무 늦은 감이 있다. 1962년 국보 제70호로 지정된 훈민정음은 세계유산이다. 유네스코(UNESCO)는 1997년 10월 한글을 세계기록유산에 등록했다.

훈민정음은 세계 최고의 알파벳 한글이다. 두말할 것도 없이, 한글은 조선의 성군 세종대왕(1397~1450)이 창제했다. 《세종실록》에는 세종이 뛰어난 언어학자였음을 보여주는 기록이 여러 군데 나온다. 훈민정음(訓民正音)은 ‘백성을 가르치는 바른 소리’라는 뜻. 소리는 한글을 의미한다.

훈민정음은 한글이라고 부르는 ‘글자’의 이름이기도 하고, ‘책’의 이름도 된다. 훈민정음은 해례본(한문)과 언해본(한글) 등 2가지가 전해온다. 한글이 세상에 처음 공개된 것은 1446년(세종 28). 훈민정음이 창제된 지 3년 만이다. 애초 28개의 문자였지만, 닿소리 3개와 홑소리 1개가 점점 쓰이지 않더니 없어졌다. 현재는 자음 14자, 모음 10자를 합해 24자의 자모만 쓰인다. 한글이라는 이름은 일제강점기에 주시경(1876~1914) 선생이 처음 만들어 사용한 것이다.

그렇다면 한글날은 언제부터 생긴 것일까? 원래 한글날의 이름은 ‘가갸날’이었다. ‘가갸거겨’ 할 때의 ‘가갸’를 빌려와 이름으로 삼았던 것이다. 가갸날이 처음 제정된 1926년에는 11월 4일이 ‘가갸날’이었다. 조선왕조실록에 따르면 《훈민정음》이라는 책이 완성된 것은 1446년 음력 9월이다. 정확한 날짜는 적혀 있지 않았다. 그래서 한글학회의 전신인 조선어연구회는 음력 9월의 마지막 날인 29일을 한글을 기념하는 날로 정했다. 그해(1926) 음력 9월 29일에 해당하는 날짜가 바로 11월 4일이었다.

가갸날은 1928년부터 한글날로 이름이 바뀌었다. 1931년 무렵부터 많은 사람들이 양력을 사용하기 시작했다. 그래서 다시 한글이 반포된 1446년 음력 9월 29일을 양력으로 환산해보니 1931년에는 10월 29일이 한글날이 됐다. 이후 정확한 양력 환산법(그레고리력)을 적용해 1934년부터는 하루 앞당겨 10월 28일을 한글날로 기렸다.

그런데 1940년 7월 경상북도 안동에서 기록으로만 전해지던 훈민정음 원본(해례본)이 발견됐다. 그 책의 기록에 ‘9월 상한(상순)’이라는 구절이 나오는데, 상한의 마지막 날인 음력 9월 10일을 양력으로 바꾸면 10월 9일이 된다. 이를 토대로 우리나라는 광복 후 1946년부터 현재까지 10월 9일을 한글날로 삼고 있다.

반면 북한은 다르다. 훈민정음을 만든 날을 기준으로 한다. 1443년 음력 12월을 양력으로 환산해 1월의 한가운데인 1월 15일을 훈민정음 창제일로 기념하고 있다.

관련이미지 3

한글날 기념식(544돌)

한글날 기념식(544돌)

이미지 갤러리

출처: 한국민족문화대백과

1/3

위 이미지에 대한 권리는 출처사이트 게시자에게 있으며, 이를 무단 사용할 경우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제공처 정보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 등에 따라 법적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외부 저작권자가 제공한 콘텐츠는 네이버의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