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재 포인트

연재

딥다이브

읽다 보면 빠져드는 경제뉴스, 딥다이브는 뉴스레터로도 만날 수 있습니다. 매주 화, 금요일 오전 8시에 찾아갑니다.

기사 435

구독 536

인기 기사

날짜선택
  • 트럼프 관세 먼저 얻어맞은 캐나다가 깨달은 것[딥다이브]

    트럼프 관세 먼저 얻어맞은 캐나다가 깨달은 것[딥다이브]

    주식시장의 롤러코스터가 어지럽습니다.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관세 핵폭탄이 세계 금융시장을 요동치게 만들었는데요. 도대체 이 관세전쟁은 어디로 가는 걸까요. 출구는 있을까요. 우린 뭘 해야 하죠? 전례 없는 상황이라 갈피를 잡기가 어려운데요. 우리보다 조금 먼저 이 상황을 겪은 나라가 …

    • 2025-04-09
    • 좋아요
    • 코멘트
  • 이 황당한 계산법은 뭐지? 트럼프 관세는 역사적이다[딥다이브]

    이 황당한 계산법은 뭐지? 트럼프 관세는 역사적이다[딥다이브]

    미국은 해방, 자유무역은 종말인가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해방의 날(liberation day)’이라고 부른 상호관세 부과의 날이 열렸고요. 그 충격은 상상 초월입니다. 관세율이 매우 높기 때문만은 아닙니다. 그 계산방법이 말도 안 되게 엉터리이기도 하죠. 상호관세가 애초에…

    • 2025-04-05
    • 좋아요
    • 코멘트
  • 애플이 못한 걸 샤오미는 해냈다…전기차 왜 잘해?[딥다이브]

    애플이 못한 걸 샤오미는 해냈다…전기차 왜 잘해?[딥다이브]

    스마트폰, 로봇청소기, 공기청정기, 밥솥…. 샤오미(小米)는 이런 걸 만드는 중국 기업입니다. 그리고 지난해 샤오미는 애플도 하지 못한 일을 해냈죠. 전기자동차를 생산한 겁니다.그 후 1년. 샤오미의 질주는 놀랍습니다. 첫 전기차 ‘SU7’은 여전히 없어서 못 팔 정도로 여전히 인기를…

    • 2025-04-02
    • 좋아요
    • 코멘트
  • 리카싱은 시진핑이 두렵지 않나? 배신자로 불리는 슈퍼맨[딥다이브]

    리카싱은 시진핑이 두렵지 않나? 배신자로 불리는 슈퍼맨[딥다이브]

    미국과 중국, 두 고래 싸움에 홍콩 고래 등이 터지려나요? 파나마 운하의 항구 운영권을 미국에 넘기기로 한 홍콩의 전설적 기업인 리카싱(李嘉誠) 전 CK허치슨 회장 얘기입니다. 예상치 못한 계약으로 허를 찔린 중국 측이 리카싱을 두고 ‘배신자’라며 분노하고 있기 때문인데요.리카싱은 자…

    • 2025-03-29
    • 좋아요
    • 코멘트
  • 정치가 경제를 망치는 방법; 튀르키예 사례[딥다이브]

    정치가 경제를 망치는 방법; 튀르키예 사례[딥다이브]

    신흥국에서 정치 혼란이 경제를 망치는 건 한순간입니다. 외국인 투자자를 도망치게 만들어, 통화가치와 주가지수를 끌어내리기 때문이죠. 최근 이를 잘 보여준 나라가 있습니다. 바로 튀르키예(터키)이죠.한동안 분위기 좋았던 튀르키예 금융시장이 지난주 야당 정치인 체포 소식에 발작을 일으켰습…

    • 2025-03-26
    • 좋아요
    • 코멘트
  • 5분 충전? 폭발하는 거 아니야?…BYD 신기술이 궁금하다[딥다이브]

    5분 충전? 폭발하는 거 아니야?…BYD 신기술이 궁금하다[딥다이브]

    우리가 5분 동안 할 수 있는 일이 뭐가 있을까요. 노래 한 곡 듣기, 책 2~3쪽 읽기, 라면 끓이기. 그리고 어쩌면 전기차 충전하기?중국 전기차 기업 BYD(비야디)가 ‘5분 충전으로 400㎞ 주행’이 가능한 초고속 충전기술을 공개했죠. 전기차 충전이 주유만큼 빨라졌다는 소식에 전…

    • 2025-03-22
    • 좋아요
    • 코멘트
  • 쌀이 사라졌다? 쌀값 두배 된 일본, 도대체 왜?[딥다이브]

    쌀이 사라졌다? 쌀값 두배 된 일본, 도대체 왜?[딥다이브]

    5㎏당 4077엔(3만9800원). 17일 일본 농림수산성이 발표한 3월 첫째 주 평균 쌀값입니다. 한국과 비교하면 2.5배가 넘는 수준이죠. 1년 전보다 무려 99.3% 뛴 쌀값으로 요즘 일본이 난리입니다. 급기야 일본 정부는 사상 처음으로 쌀 부족을 이유로 대규모 비축미를 방출에 …

    • 2025-03-19
    • 좋아요
    • 코멘트
  • 레고 주식 못 사나요? ‘혁신 아이콘’ 레고가 위기에 강한 이유[딥다이브]

    레고 주식 못 사나요? ‘혁신 아이콘’ 레고가 위기에 강한 이유[딥다이브]

    혹시 레고(LEGO) 좋아하시나요? ‘조립블록’이란 단어보단 레고라는 상표명이 더 익숙할 정도로 전 세계적으로 유명한 장난감 브랜드인데요. 93년 된 덴마크 장난감 기업 레고가 특별한 건 그 창의적인 제품 디자인 때문만은 아닙니다. 주기적으로 닥쳐오는 위기를 극복해 내는 그 경영 비법…

    • 2025-03-15
    • 좋아요
    • 코멘트
  • 전쟁 중인 러시아, 호황 넘어 과열인 이유[딥다이브]

    전쟁 중인 러시아, 호황 넘어 과열인 이유[딥다이브]

    2024년 경제성장률이 4.1%나 되고, 실업률은 2.4%에 불과합니다. 임금이 뛰고 소비가 늘어나 경제가 호황이다 못해 과열 양상이죠. 어느 나라 얘기일까요. 바로 러시아입니다.우크라이나를 침공해 전쟁을 벌인 지 만 3년여. 러시아 경제는 침체 위기를 가볍게 뛰어넘어 진군 중입니다.…

    • 2025-03-12
    • 좋아요
    • 코멘트
  • 독일이 깨어났다…트럼프가 촉발한 ‘자주국방’ 각성[딥다이브]

    독일이 깨어났다…트럼프가 촉발한 ‘자주국방’ 각성[딥다이브]

    수렁, 쇠락, 침몰. 한동안 독일 경제엔 이런 단어가 따라붙었죠. 2년 연속 경기침체에 빠진 데다, 다시 성장 궤도를 타기 위한 구조 개혁도 지지부진했기 때문인데요. ‘유럽의 병자’로 불리기까지 했습니다. 그런 독일이 갑자기 깨어났습니다. 16년 만에 헌법을 개정해 대대적인 국방·인프…

    • 2025-03-08
    • 좋아요
    • 코멘트
  • 미국 72억, 홍콩 55억…영주권 사고파는 ‘골든 비자’의 세계 [딥다이브]

    미국 72억, 홍콩 55억…영주권 사고파는 ‘골든 비자’의 세계 [딥다이브]

    초부유층이라면 누구나 탐낼 만한 럭셔리 신상품 출시가 예고됐습니다. 가격은 단돈 500만 달러(약 72억원). 바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도입을 예고한 새로운 ‘골든 비자(Golden Visa)’입니다.거액을 내면 영주권 또는 시민권을 준다는 발상은 언제 어떻게 생겨났을까요. …

    • 2025-03-01
    • 좋아요
    • 코멘트
  • 빛바랜 영원의 약속…다이아몬드 종말론 나오는 이유[딥다이브]

    빛바랜 영원의 약속…다이아몬드 종말론 나오는 이유[딥다이브]

    아프리카 보츠와나 광산부터 뉴욕 5번가 보석점까지. 연간 100조원 규모로 반짝이던 산업이 빛을 잃어갑니다. 바로 다이아몬드 이야기이죠. 다이아몬드 가격이 급락하면서 업계 최강자 드비어스가 매물로 나오고, 인도 공장이 줄줄이 문 닫고, 보츠와나 정권이 58년 만에 교체되기까지 했는데요…

    • 2025-02-26
    • 좋아요
    • 코멘트
  • 지지율 81%인데 고꾸라지는 주가…포퓰리즘과 인도네시아 경제[딥다이브]

    지지율 81%인데 고꾸라지는 주가…포퓰리즘과 인도네시아 경제[딥다이브]

    요즘 전 세계적으로 포퓰리스트이면서 ‘스트롱맨’ 스타일인 지도자가 대세이죠. 이 중에서도 떠오르는 샛별이라 할 만한 인물이 있는데요. 바로 지난해 10월 취임한 프라보워 수비안토 인도네시아 대통령입니다.프라보워 대통령은 취임하자마자 거침없는 행보를 보이고 있는데요. 한쪽으론 인기영합적…

    • 2025-02-15
    • 좋아요
    • 코멘트
  • 혁신 기업은 뭐가 다를까…‘인재 밀도’의 비밀[딥다이브]

    혁신 기업은 뭐가 다를까…‘인재 밀도’의 비밀[딥다이브]

    혁신을 탄생시키는 조직은 뭐가 다를까요. 혁신의 조직을 만들어낸 공통의 레서피는 존재할까요. 전 세계를 쇼크에 빠뜨린 중국 인공지능(AI) 스타트업 딥시크를 보며 이런 궁금증이 생겼습니다. 딥시크 창업자 량원펑이 전하는 스토리가 어디서 많이 본 듯했거든요. 딥시크의 일하는 방식은 애플…

    • 2025-02-12
    • 좋아요
    • 코멘트
  • 중국이 파나마 운하 봉쇄할까봐? 트럼프의 ‘운하 탈환’ 도발[딥다이브]

    중국이 파나마 운하 봉쇄할까봐? 트럼프의 ‘운하 탈환’ 도발[딥다이브]

    중미 남쪽 끝에 있는 인구 450만명의 파나마.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취임한 뒤 뉴스의 중심으로 떠올랐죠. 대서양과 태평양을 잇는 길이 82㎞ 물길, 파나마 운하를 둘러싼 갈등 때문인데요. 파나마 운하 운영권이 미국에서 파나마로 완전히 넘어간 지 25년. 이제 와서 “운하를 되찾겠다…

    • 2025-02-08
    • 좋아요
    • 코멘트